문제 링크: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79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문제 설명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장르 별로 가장 많이 재생된 노래를 두 개씩 모아 베스트 앨범을 출시하려 합니다. 노래는 고유 번호로 구분하며, 노래를 수록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속한 노래가 많이 재생된 장르를 먼저 수록합니다.
- 장르 내에서 많이 재생된 노래를 먼저 수록합니다.
- 장르 내에서 재생 횟수가 같은 노래 중에서는 고유 번호가 낮은 노래를 먼저 수록합니다.
노래의 장르를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genres와 노래별 재생 횟수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plays가 주어질 때, 베스트 앨범에 들어갈 노래의 고유 번호를 순서대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 genres[i]는 고유번호가 i인 노래의 장르입니다.
- plays[i]는 고유번호가 i인 노래가 재생된 횟수입니다.
- genres와 plays의 길이는 같으며, 이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장르 종류는 100개 미만입니다.
- 장르에 속한 곡이 하나라면, 하나의 곡만 선택합니다.
- 모든 장르는 재생된 횟수가 다릅니다.
입출력 예genresplaysreturn
["classic", "pop", "classic", "classic", "pop"] | [500, 600, 150, 800, 2500] | [4, 1, 3, 0] |
---|
입출력 예 설명
classic 장르는 1,450회 재생되었으며, classic 노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유 번호 3: 800회 재생
- 고유 번호 0: 500회 재생
- 고유 번호 2: 150회 재생
pop 장르는 3,100회 재생되었으며, pop 노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유 번호 4: 2,500회 재생
- 고유 번호 1: 600회 재생
따라서 pop 장르의 [4, 1]번 노래를 먼저, classic 장르의 [3, 0]번 노래를 그다음에 수록합니다.
- 장르 별로 가장 많이 재생된 노래를 최대 두 개까지 모아 베스트 앨범을 출시하므로 2번 노래는 수록되지 않습니다.
<문제 풀이>
파이썬의 딕셔너리 구조를 활용하여 문제를 풀이하였다.
set을 이용해 장르 데이터의 중복을 제거하여 key로 사용하도록 딕셔너리를 만들었다.
그 뒤 장르 인덱스 0번에 총 합을, 1번 인덱스에 음악의 인덱스 값과 재생 수를 리스트로 만들어 추가했다.
장르 데이터의 쓰임은 다 했으니, value만 추출하여 총 합 재생 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했다.
그 다음, 반복문을 통해 각 음악의 재생 수가 많을 순으로 정렬하여 answer 배열에 추가해 주면 답이 된다.
고려해야 할 점:
나는 set을 사용해 딕셔너리의 키 값을 미리 선언해 두는 식으로 만들었었다. 하지만 실제 환경에서는 if조건문을 사용해 해당 입력의 키가 없을 경우에 추가하는 식으로 처리한다. 왜 그런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 실제 환경에서는 모든 데이터가 한 번에 들어오는 경우가, 다시말해 동적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if조건문을 사용해 초기화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것이다.
- 매번 키 값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나는 O(n)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 생각했었다. 하지만 파이썬의 딕셔너리 구조는 해시 테이블이라는 것을 사용하여 O(1)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if조건문을 활용해도 시간 복잡도의 차이는 없다시피 한다.
- set을 사용하여 키를 초기화하는 과정에서 메모리 소모가 발생한다. 자료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이는 더 커질 것이고, 해당 줄에 대한 이해도 필요할 것이다. if문을 사용하는 것이 더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소스코드>
def solution(genres, plays):
tmp_dict = {key:[0, []] for key in set(genres)}
answer = []
for index, value in enumerate(zip(genres, plays)):
tmp_dict[value[0]][1].append([index, value[1]])
tmp_dict[value[0]][0] += value[1]
tmp_values = list(tmp_dict.values())
tmp_values.sort(key=lambda x:x[0], reverse=True)
for play, songs in tmp_values:
songs.sort(key=lambda x:x[1], reverse=True)
answer.extend([song_id for song_id, _ in songs[:2]])
return answer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LV.2 과제 진행하기] (1) | 2024.01.03 |
---|---|
[프로그래머스 LV.3 네트워크] (0) | 2023.12.30 |
[백준 10158번 개미] (1) | 2023.12.01 |
[백준 10157번 자리배정] (0) | 2023.11.30 |
[백준 10773번 제로] (0) | 2023.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