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

[프로그래머스 LV.3 야근 지수]

선호하는 2025. 4. 30. 09:00

문제 설명

회사원 Demi는 가끔은 야근을 하는데요, 야근을 하면 야근 피로도가 쌓입니다. 야근 피로도는 야근을 시작한 시점에서 남은 일의 작업량을 제곱하여 더한 값입니다. Demi는 N시간 동안 야근 피로도를 최소화하도록 일할 겁니다.Demi가 1시간 동안 작업량 1만큼을 처리할 수 있다고 할 때, 퇴근까지 남은 N 시간과 각 일에 대한 작업량 works에 대해 야근 피로도를 최소화한 값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works는 길이 1 이상, 20,000 이하인 배열입니다.
works의 원소는 5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n은 1,0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works n result
[4, 3, 3] 4 12
[2, 1, 2] 1 6
[1,1] 3 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n=4 일 때, 남은 일의 작업량이 [4, 3, 3] 이라면 야근 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4시간동안 일을 한 결과는 [2, 2, 2]입니다. 이 때 야근 지수는 22 + 22 + 22 = 12 입니다.

입출력 예 #2
n=1일 때, 남은 일의 작업량이 [2,1,2]라면 야근 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1시간동안 일을 한 결과는 [1,1,2]입니다. 야근지수는 12 + 12 + 22 = 6입니다.

입출력 예 #3

남은 작업량이 없으므로 피로도는 0입니다.

풀이

야근 지수는 시간의 제곱이기 때문에, 최대한 큰 수를 없애야 했다. 그렇기 때문에, 가능한 만큼 큰 수부터 1씩 빼 시간을 평탄화하면 되는 문제였다. 물론 하나씩 빼면 되긴 했는데 그건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생각해야 했다.

처음에는 set을 통해 중복을 제거한 뒤, 숫자를 키로 몇 개가 나왔는지를 값으로 하는 dict 형태로 데이터를 조작하려고 했었다.
그런데 중간중간 비어있는 시간대가 있었다는 걸 확인하고, range 함수를 사용해 연속 리스트를 dict의 키 값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변경하였다.

dict를 순회하면서 가능한 시간 안에서 야근 시간을 빼 나갔고, 야근 가능 시간이 dict의 최대값보다 클 경우, 최대값을 0으로 변경, tmp 변수에 담아 최대값-1의 값과 더해 야근 가능한 시간과 비교했다.
만약 야근 가능한 시간이 모자랄 경우, 현재 최대값에서 가능 시간만큼을 빼고 다음 시간으로 넘겨준 뒤, 반복문을 종료시켰다.

dict를 이전 for문의 key 값까지 순회하면서 i^2*n을 answer 변수에 더해준 뒤, 값을 반환해주었더니 답이 되었다.

소스 코드

def solution(n, works):
    answer = 0
    works_dict = {i: 0 for i in range(max(works) + 1)}
    for i in works:
        works_dict[i] += 1

    tmp = 0
    for k, v in list(works_dict.items())[:0:-1]:
        now = v + tmp
        if now <= n:
            works_dict[k] = 0
            n -= now
            tmp = now
        else:
            works_dict[k] = now - n
            works_dict[k-1] += n
            break

    for k,v in list(works_dict.items())[1:k+1]:
        answer += k**2 * v

    return answer